톰 티터스가 쓴 'WOW 프로젝트'는 총3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번 2권에는 인생의 삶을 프로젝트로 생각하고 잘 꾸려 가기 위해 해야 할 일들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의 업무 비중을 보면 창조적인 일 30%, 판매하는 일 30%, 실행하는 일 30%, 실행 후 마무리하는 퇴장관련 업무 10% 수준입니다.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을 잘하고, 마지막으로 멋지게 마무리한다면 "WOW/와우" 프로젝트가 됩니다. 다시 말하면 멋진 삶이 됩니다.
프로젝트로 멋진 삶을 만들려면 먼저 프로젝트에 대한 흥미를 가져야 합니다. 흥미를 갖는 자세는 프로젝트을 임할 때 늘 새롭기 때문에 미지를 탐험 하듯 열정으로 자신의 재능과 기술을 보여 주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는 기록하고, 핵심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결정하는 용기을 내어 추진해야 합니다. 당연히 최선을 다한 후에 결과을 기다리는 즐거움도 있습니다.
프로젝트가 잘못된 방향으로 진행되는 이유는 사소한 문제에서 시작합니다. 그래서 허드렛일도 즐겨야 하고 특히 프로젝트의 문제를 잘 파악하기 위해 정리 정돈을 잘 해야 합니다. 현장을 정리정돈한 후에 일하는 것도 필요하고, 보고, 회의록 등 각종자료를 잘 정리하면 문제발생에 미연에 방지하든가 혹은 문제 발생시에 잘 대응할 수 있기에 사전에 정리할 것을 즐겨야 합니다.
인생의 삶 프로젝트는 오래 같이 하면서 무엇인가 문제를 함께 의논할 현명한 친구가 있으면 좋습니다. 삶의 프로젝트는 의외로 짧기에 빠른 시간내에 올바른 결정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올바른 결정을 통하여 잘못된 일을 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고, 살다보면 많은 관계 속에 있기에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해서 주변사람들의 격려와 협조도 필요합니다. 그래서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시나리오 또는 때로는 삶의 가치를 주변 협보자들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그래야 주변사람들로 부터 공감도 받고 배려받는 삶을 살 수 있습니다. 만일 사는 방법을 마케팅으로 선택했다면 꾸준히 입소문을 내야 합니다. 친구들를 만들고 더 많이 사람들을 소개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런 지지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아군이 될만한 사람들을 찾아내어 지지자를 추가 확보하면, 삶의 프로젝트는 윤택해집니다. 모든 삶 속의 프로젝트는 이렇게 믿음직한 지원과 지지자들를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의외의 문제와 사건으로 예정된 약속 또는 계약을 지킬 수 없음을 전망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때는 상대를 배려하여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계획을 조정해야 합니다. 실행하면서 진행상황을 확인하다가 계획과 다르게 진행이 된다면 조정하는 것이 실행의 바른 절차입니다. 그래서 프로젝트의 준비, 실행과 조정하는 행위를 다르게 표현하면 '분해하라' '가지고 놀고' '테스트하고' '뭔가 배울수 있는 아주 작은 조각으로 일을 분리하고' '분리된 일을 실행하고' '테스트의 결과을 확인하고' '조정해야 할 것을 찾고' '보완하여 다시 실행한다' . 이런 일을 우리는 프로젝트 관리라는 합니다. 즉 '품질관리' '프로젝트 위험관리' '공정관리' 등으로 달리 표현하기도 합니다.
끝으로 프로젝트를 성공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신속한 실행 또는 실패 가능성을 파악하여 신속히 계획을 조정하고 다시 실행하는 것입니다. 신속한 성공은 어찌보면 신속한 실패 가능성을 인정하고, 목표와 문제간의 차이를 발견하여 재구상 또는 궤도 수정을 했기 때문에 가능했는지도 모릅니다. 즉 적은 실패를 하면 빨리 목적지에 도착합니다. 또 실패를 했다면 빨리 인정해야 궤도 수정이 가능합니다. 빠른 프로젝트 성공은 바로 문제와 현상에 대한 정확한 인지 능력에 있습니다. 실패마저 인정하는 용기가 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그렇게 행할 수 있다면 모두가 주변으로 부터 인정받는 삶의 프로페셔널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프로젝트의 업무 비중을 보면 창조적인 일 30%, 판매하는 일 30%, 실행하는 일 30%, 실행 후 마무리하는 퇴장관련 업무 10% 수준입니다.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을 잘하고, 마지막으로 멋지게 마무리한다면 "WOW/와우" 프로젝트가 됩니다. 다시 말하면 멋진 삶이 됩니다.
프로젝트로 멋진 삶을 만들려면 먼저 프로젝트에 대한 흥미를 가져야 합니다. 흥미를 갖는 자세는 프로젝트을 임할 때 늘 새롭기 때문에 미지를 탐험 하듯 열정으로 자신의 재능과 기술을 보여 주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는 기록하고, 핵심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결정하는 용기을 내어 추진해야 합니다. 당연히 최선을 다한 후에 결과을 기다리는 즐거움도 있습니다.
프로젝트가 잘못된 방향으로 진행되는 이유는 사소한 문제에서 시작합니다. 그래서 허드렛일도 즐겨야 하고 특히 프로젝트의 문제를 잘 파악하기 위해 정리 정돈을 잘 해야 합니다. 현장을 정리정돈한 후에 일하는 것도 필요하고, 보고, 회의록 등 각종자료를 잘 정리하면 문제발생에 미연에 방지하든가 혹은 문제 발생시에 잘 대응할 수 있기에 사전에 정리할 것을 즐겨야 합니다.
인생의 삶 프로젝트는 오래 같이 하면서 무엇인가 문제를 함께 의논할 현명한 친구가 있으면 좋습니다. 삶의 프로젝트는 의외로 짧기에 빠른 시간내에 올바른 결정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올바른 결정을 통하여 잘못된 일을 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고, 살다보면 많은 관계 속에 있기에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해서 주변사람들의 격려와 협조도 필요합니다. 그래서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시나리오 또는 때로는 삶의 가치를 주변 협보자들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그래야 주변사람들로 부터 공감도 받고 배려받는 삶을 살 수 있습니다. 만일 사는 방법을 마케팅으로 선택했다면 꾸준히 입소문을 내야 합니다. 친구들를 만들고 더 많이 사람들을 소개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런 지지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아군이 될만한 사람들을 찾아내어 지지자를 추가 확보하면, 삶의 프로젝트는 윤택해집니다. 모든 삶 속의 프로젝트는 이렇게 믿음직한 지원과 지지자들를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의외의 문제와 사건으로 예정된 약속 또는 계약을 지킬 수 없음을 전망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때는 상대를 배려하여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계획을 조정해야 합니다. 실행하면서 진행상황을 확인하다가 계획과 다르게 진행이 된다면 조정하는 것이 실행의 바른 절차입니다. 그래서 프로젝트의 준비, 실행과 조정하는 행위를 다르게 표현하면 '분해하라' '가지고 놀고' '테스트하고' '뭔가 배울수 있는 아주 작은 조각으로 일을 분리하고' '분리된 일을 실행하고' '테스트의 결과을 확인하고' '조정해야 할 것을 찾고' '보완하여 다시 실행한다' . 이런 일을 우리는 프로젝트 관리라는 합니다. 즉 '품질관리' '프로젝트 위험관리' '공정관리' 등으로 달리 표현하기도 합니다.
끝으로 프로젝트를 성공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신속한 실행 또는 실패 가능성을 파악하여 신속히 계획을 조정하고 다시 실행하는 것입니다. 신속한 성공은 어찌보면 신속한 실패 가능성을 인정하고, 목표와 문제간의 차이를 발견하여 재구상 또는 궤도 수정을 했기 때문에 가능했는지도 모릅니다. 즉 적은 실패를 하면 빨리 목적지에 도착합니다. 또 실패를 했다면 빨리 인정해야 궤도 수정이 가능합니다. 빠른 프로젝트 성공은 바로 문제와 현상에 대한 정확한 인지 능력에 있습니다. 실패마저 인정하는 용기가 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그렇게 행할 수 있다면 모두가 주변으로 부터 인정받는 삶의 프로페셔널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