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하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팀 페리스의 '타이탄(굉장한 성과자)의 도구들'을 통해 좋은 습관 만들기? 책은 괴장한 성공을 거둔 사람들의 삶의 습관들을 많이 소개하고 있다. 이중에서 나름 공감되고 중요하다는 것을 발췌해서 소개합니다. 첫째는 무엇인가 이루어낸 사람에 대해서 '배움의 기술'에서 말한 것 처럼 디테일에 강하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에서 '당신은 무엇을 줄수 있는가?라고 묻는 상인에게 주인공은 ”저는 생각하고, 기다리며, 금식할 수 있습니다.”로 답합니다. 정리하면 생각한다는 '결정을 내릴 때 좋은 원칙들을 가지고 다른 사람들을 위해 좋은 질문들을 갖는 것' 이며, 기다린다는 '장기적인 계획하에 멀리 보고 게임을 즐기며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는 것' 금식한다는 '어려움과 시련을 견딜 수 있기에 여전히 온전히 회복할 수 있기에 큰 고통에도 관용과 평정을 잃지 않는 것'입니다.. 더보기 '굿 라이프'로 사는 기준과 실천 방법은? 최인철 교수님의 '굿 라이프"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행복에 대하여 많은 철학자가 다양하게 말했다. 행복이란 무엇인가? '굿 라이프"도 저자도 연구를 통하여 '순간적 쾌락'과 '삶의 의미를 주는 것' 사이에 행복을 해석하고 인생에 도움을 주는 많은 삶의 기준과 방법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굿라이프'는 무엇일까? 좋은 기분, 삶의 의미와 목적, 삶의 품격있는 자세와 태도까지 포함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재미와 의미' '순간과 삶' '유전과 환경' '성공과 행복' '현재와 미래' '자기행복과 타인의 행복' 사이에 균형과 확장이 중요합니다. 제가 보기에도 이들 사이에 먼저 균형 잡힌 시각을 먼저 갖추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특히 행복은 일상의 삶에서 어떤 경험하든가, 보는가, 듣는가, 접촉하는 것 등에서 .. 더보기 이전 1 다음